이클립스: 72개의 글
인텔리J의 Project structure의 단축키는 Ctrl+Alt+Shift+S이다. 그러나 해당 단축키로 접속이 안되는 경우가 있어 경로를 기재하려고한다. 모듈을 우클릭하면 사진과 같이 Open Module Settings가 나온다. 이 부분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Project Structure가 나오니 참고하도록하자. 출처 : namubada.net/139?category=776665
인텔리 J의 컴파일 방법 중 수동 과 자동 방법에 대하여 다뤄보고자한다. 우선 수동 컴파일 방법은 ctrl+f9 키이다. 해당 키 조합으로 자동 컴파일을 할 수 있다. 그럼 이제 자동 컴파일 방법에 대하여 보도록하자. 우선 Ctrl+Alt+Shift+S 키를 눌러준다. 그리고 아래 사진과 같이 Compiler > Build project automatically를 체크해주고 OK 버튼을 클릭해준다. 다만 위와 같이 변경했다고 코드 수정시 바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인텔리J 창이 화면에서 사라진 이후에 활성화된다 아래사진과 같이 말이다. 아래와 같이 start에서 index로 return 값을 변경했다. 변경시 바로 변경이 안되고 아래와 같이 화면이 사라져야 활성화가된다. 그러니 변경 후 화면 전환시 자동..
이클립스의 경우 클래스나 변수가 수정될 경우 자동으로 publishing 하는 기능이 있어 톰캣 재실행없이 변경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인텔리J의 경우 이 기능이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아 바로 변경이 어렵다 그러므로 별도의 변경 이후에 사용이 가능하다. 인텔리J 우측 상단에 edit configurations로 접속한다. 아래 사진의 On update action과 on frame deactivation을 Update classes and resources로 변경 해주고 Ok 버튼을 눌러준다. 그리고 실행은 항상 debug 모드로 해야지 Auto publishing이 정상 작동되니 참고하도록하자. 출처 : namubada.net/137?category=776665
Eclipse에서는 sysout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인텔리J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인텔리J에서는 sout 입력 후 tab 또는 so 입력 후 tab으로 자동완성할 수 있다. 출처 : namubada.net/135?category=776665
인텔리J에서 interface를 만들려고하였으나 목록에서 확인이 안되어 당혹스러웠다. 그러나 만드는 방법이 있으니 아래를 참고하도록 하자. 우선 interface를 만들고자 하는 package에 mouse를 우클릭한다. new > java class를 선택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올 것이다. 이중 interface를 선택해주면된다. 출처 : namubada.net/134?category=776665
인텔리j도 이클립스와 같은 라인 정렬이 있다. 그런데, 일부 라인 정렬이 되지 않아 기재하려고한다. 아래와 같은 코드가 있다 보기만해도 너무 길고 뒤죽박죽으로보기가 좋지않다. 여기서 우리가 해야 하는 기능은 두가지다. 1. import 코드 정렬(Ctrl+Alt+O) 2. line 코드 정렬(Ctrl+Alt+L) 여기서 알아야 할 점은 import 코드를 정렬한다고 line 코드가 정렬되지않고 또한 line 코드 정렬은 한다고해서 import 코드가 정렬되지않는다. 그럼 두가지 각각 시도해보도록하겠다. 1. import 코드 정렬(Ctrl+Alt+O) 보이는가 import는 정렬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line은 정렬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line 코드 정렬(Ctrl+Alt+L) ..
JSP 설정을 한 후 스프링 사용장의 경우 pom.xml이 추가가 안되어 있어 당혹스러울 수 있다. 이 경우 추가 방법 및 pom.xml에서 dependency 추가에 관하여 확인해보도록하자. pom.xml 추가는 아래와 같다. module을 마우스 우클릭 > Add Framework Support 한다. Maven을 체크한 후 OK 버튼을 클릭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pom.xml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자 그럼 이제 pom.xml을 보도록하자. 아래와 같이 dbcp가 추가되지 않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니 dbcp를 추가해보도록하자. 추가 여부는 좌측 External Libararies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우측 pom.xml에서 사진과 같이 dependency를 추가해보자 추가..
인텔리제이는 이클립스처럼 워크스페이스가없고 워크스페이스의 개념을 프로젝트가 한다. 그러므로 평소 이클립스를 쓰던 사람은 개념의 차이로 인해 다소 혼란스러울 수 있다. 그러므로 이클립스에서 워크스페이스는 인텔리제이에서는 프로젝트라고 이해를 해두자. 그럼 모듈의 경우는 어떨까 이클립스에서는 한 워크스페이스안에 여러개의 프로젝트를 만들어서 관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인텔리제이의 경우 분리된 모듈이 아닌 한 루트 프로젝트안에 여러개의 모듈이 존재하는 식으로 구성된다. 아래 사진과 같이 Root 프로젝트 아래에 모듈이 소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 사진과 같이 새로운 모듈을 추가하면 프로젝트 안에 소속되어 축라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출처 : namubada.net/116?category=776665
인텔리J에서 JSP 프로젝트를 만들어보자 상단의 File > Project를 실행한다. 그 다음 Java > SDK 설정 > Web Application 쳌 > WebServices 쳌 > 하단의 Generate sample server code 쳌 > Apache Axis 선택 > Next web > index.jsp의 텍스트를 Hello world로 입력해준다. > 그리고 우측 상단의 Add Configurations를 클릭한다. 우측 상단의 + 모양을 클릭한다 하단의 31 more items를 클릭한다. Tomcat Server > Local을 클릭한다 Configure를 클릭한다 Machintosh HD를 선택한다 검색칸에 tomcat이라고 검색한다. 경로를 찾아서 usr/local/Cellar/..
1. Tern Eclipse 다운로드 2. 이클립스 Help > Install New Software 클릭 3. 다운받은 Tern Eclipse 드래그 앤 드랍 4. 설치 후 이클립스 재부팅 1. Tern Eclipse 다운로드 Tern Eclipse를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해준다. 이클립스 최신버전 마켓에서는 더 이상 조회가 안되기 때문에 수동으로 설치해야 한다. https://github.com/angelozerr/tern.java/releases 2. 이클립스 Help > Install New Software 클릭 3. 다운받은 Tern Eclipse 드래그 앤 드랍 4. 설치 후 이클립스 재부팅 재부팅 후에 Convert 방법은 다음과 같다. 아래 표시한 것만 추가하면된다. 만약 추가로 추가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