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임워크: 78개의 글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9J41r/btq13z1QlPb/Hj5qU17COmEu1W8KzT4xY1/img.png)
이전에 이어서 jdbcTemplate (NullPointerException 오류)가 발생하는 실질적인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고자한다. 우선 사전에 알아야할 것은 아래 두개가 선행되어야 한다. [Spring Framework/Spring 오류] - [Spring 오류] 스프링 404 오류가 발생할 경우(2) [Spring Framework/Spring 오류] - [Spring 오류] jdbcTemplate (NullPointerException 오류)(1) 아래 사진에서 표시했던 부분이 실질적인 오류가 발생하는 부분이다. 아래 회원가입 폼은 회원가입을 진행하면 SchoolDAO의 insert가 진행된 후 list로 이동하는 폼이다. 그럼 등록하기를 진행하면 어떻게 되는지 확인하도록하자 아래 사진에서 주의깊..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G5TNr/btq18orcwmq/EXkNKT22K3GKyJtPkzAcDK/img.png)
spring web.xml에 param과 listner를 주석처리한 후 index.jsp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정상 실행이 된다. 그러나 web.xml에서 주석처리했던 param과 listner를 주석해제하면 아래와 같이 404 오류가 발생한다. 그래서 오류를 조금 더 추적해보니 web.xml에서 listner를 주석처리하니 정상 실행이 되었다. 다시 문제의 원일 찾기 위해 주석을 해제하고 console을 확인했다. 확인시 schoolController > schoolDAO > jdbc에 문제가 있었다는 오류를 확인했다. 해당 404 오류는 applicationCotext.xml의 문제이다. 코드를 찬찬히 보면서 순서도를 보도록하자 1. 처음 톰캣 서버를 구동하면 web.xml 파일을 로딩하여 서블릿 ..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vwbD/btq16yOQ5t5/R9pXK0S6b9uKLRziVMRdb0/img.png)
회원가입 정보를 입력하여 db에 회원정보를 저장하려고한다. 저장시 join.jsp를 실행한다. 여기서 회원 가입을 진행하면 우선 web.xml이 작동된다. web.xml에서 *.do는 모두 presentation-layer.xml에서 실행하도록 설정이 되어있다. 그럼 이제 presentation-layer.xml로 이동해보자. presentation-layer.xml 파일은 /insert.do가 실행되었을 경우 InsertController가 실행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제 InsertController가 실행되게 된다. 여기서 문제의 InsertController로 접근되게 된다. 그런데 여기서 InsertController로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면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NullPointer..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Jzs55/btq13AGtXdm/v66HFk7X8PXXtbZCUFzer0/img.png)
다른 프로젝트에서는 정상적으로 되었으나 Sping 프로젝트에서 jsp 파일 실행시 톰캣 실행이 안될 때 우선 window > preferences로 이동한다. 이동 후 기존의 Tomcat을 Remove한다. Remove 후 다시 Add로 Tomcat을 추가한다. Tomcat 추가 후 하단에 Server > New > Server로 서버를 새로 추가해준다. 그 후 기존 Spring Project > pom.xml에서 plugin의 Tomcat을 정상 pom의 Tomcat을 정상 pom의 Tomcat으로 수정한다, 그 다음 두번째 방법 오류가 발생한 Spring 프로젝트의 Maven Dependencies로 이동한다. 경로를 확인한 후 해당 폴더의 파일을 모두 삭제한다. 삭제 후 Spring 프로젝트 우클릭..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NUjN/btq18okrsdE/w0lS07CL0Fla2CLG9qFWu0/img.png)
스프링 실행시 프로젝트 안에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도 404 오류가 발생한다면, 이클립스 서버를 Restart 한 후에 동일한지 확인해보도록하자. 출처 : namubada.net/84?category=777141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NaFB7/btq16PW8qOJ/NV1hrzSeeiKZP9aOU4FDF1/img.png)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시 없는 정보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 오류 해결의 경우 의와 같이 어떤 파일 몇번째 줄에서 발생하는지 확인을 하여야 한다. 확인시 UserDAO.java 파일 63 line에서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해당 문제를 try catch문으로 잡기를 원할 경우 위와 같이 오류 발생 지점에 try문으로 감싸주면 위와 같이 catch 문에서 catch가 가능하니 참고하여 사용하도록하자. 출처 : namubada.net/81?category=777141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p2SbU/btq14YUMRWD/hwXDaE6ZZXRfLmgLgWhRH0/img.png)
applicationContext에서 위와 같이 jdbcTemplate 추가시 위와 같은 문장 오류가 발생한다. 해당 문제의 해결은 pom.xml에서 위와 같이 jdbc dependency로 추가해주면 아래와 같이 해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namubada.net/78?category=777141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QSPx/btq11zVLoGH/wEW0SzLnytc98olCApD4k0/img.png)
위와 같이 driverClassName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다. 문제의 원인은 오타이며, 이름이 driverClassname이 아닌 driverClassName으로 해야한다. 이 점 주의해서 작성하도록하자. 출처 : namubada.net/77?category=777141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Y4pb/btq17GySRWj/nHiQNMkykGvAgu7wNaHgC1/img.png)
Client 파일 실행시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다 해당 문제의 경우 아래와 같이 applicationContext.xml 파일에서 export 후 다시 import하였으나 이번에는 Cannot find the declaration of element 'beans' 오류가 발생하였다 해당 문제의 경우 구글링 진행 후 여러가지 방법을 진행하였으나 동일하여 그냥 깔끔하게 기존 파일 삭제 후 새로 파일을 생성하였다. 생성 후 다음과 같이 import하였다 삭제 후 재import시에는 사진과 같이 에러 라인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namubada.net/75?category=777141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ZWBwk/btq17GFEc0H/frCFA2v0wjDGfmaXFXuo71/img.png)
Maven Dependencies에 정상적으로 import하였으나 applicationContext.xml에 해당 부분에서 해당 class를 인식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해당 문제의 경우 해당 class를 정상적으로 import 못하여 발생한 것으로 추측된다. 문제의 해결은 아래와 같이 진행하였다. 위와 같이 정상적으로 import하였으나 인식을 못한다. 이 경우 pom.xml로 이동한다. 이동 후 기존의 commons-dbcp 1.4를 remove 진행한다. remove 후 해당 폴더로 이동하여 폴더에서도 dbcp 1.4를 삭제해준다. 그 다음 dbcp 1.4 ver을 추가해준다. 추가 후 저장해주면 정상적으로 load할 수 있게 되어진다. 출처 : namubada.net/74?category=777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