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임워크: 78개의 글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KAm5/btq2gDwpZDw/0XhM5e5gqNHvL1Wywjs811/img.png)
오류명 : No message available 오류원인 : 1. Lombok Requires Annotation Processing 오류 2. MainApplication이랑 다른 패키지에 있을 경우 오류해결 : 1. Lombok Requires Annotation Processing 문제 해결 2. MainApplication이랑 같은 패키지에 넣어 놓아서 해결 1. Lombok Requires Annotation Processing 오류 인텔리제이로 프로젝트 실행시 아래 오류와 함께 프로젝트 실행이 안되었다. 확인해보니 Lombok Requires Annotation Processing 오류로 확인되었다. 다음과 같이 Enable 버튼을 클릭하여 해결하거나 아래와 같이 설정하여 해결하도록하자. 1-..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7K1cS/btq2gDXuUfG/NRc2WzlNPeb9rII0cZwdU0/img.png)
오류제목 : java.lang.NullPointerException(lombok 체크) 오류내용 : 회사에서 잘되던 코드가 집에서 실해하니 Null 오류를 뿜어냈다. 오류원인 : lombok 미추가로 인한 getter, setter 기능 미실행으로 발생한 오류였다. 오류해결 : lombok 추가와 Job에서 final 선언 추가 후 해결하였다. 잘되던 코드가 안된다면 lombok을 체크해보자. 회사에서 잘되던 코드가 집에서는 실행하니 NullPointer 오류를 발생했다. database.properties라고 생각하여 database.properties 변경을 하였으나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원인은 lombok미설치로인한 getter, setter 실패 그러므로 잘되던 코드가 안된다면 getter,..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7exIi/btq2ic5sfyO/HnDwPppLXyqT8mzeBygKYk/img.png)
오류내용 : [WARNING] The requested profile "pom.xml" could not be activated because it does not exist. 오류원인 : 메이븐 빌드시 Run configuration의 pom.xml 문제로 확인됨 오류처리 : Run configuration의 profile에서 pom.xml 삭제 후 정상적으로 메이븐 빌드됨 프로젝트 메이븐 빌드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다. [WARNING] The requested profile "pom.xml" could not be activated because it does not exist. 해당 오류의 오류원인은 메이븐 빌드시 Run configuration의 pom.xml 문제로 확인되었다. 다음과 ..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1ZcK/btq2h2IHlaU/9Jl4lOvlG95SDww0WznoFK/img.png)
오류내용 : Controller로 페이지 이동시 404 오류 발생 오류원인 : 1. Controller가 잘못 설정되어 있을 경우 2. application.properties에 내용이 잘못되어 있을 경우 3. jsp 파일의 경로가 잘못되어 있거나 없을 경우 4. build.gradle에서 dependency가 정상 주입이 안되어 있었을 경우 5. maven의 경우 pom.xml에서 tomcat-embed-jasper가 추가 안되어 있을 경우 오류해결 : 1. Controller 설정 확인 2. application.properties의 내용 확인 3. jsp 파일의 경로 확인 4. build.gradle에서 dependency가 정상적으로 추가되었는지 확인 5. pom.xml에서 tomcat-embed..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5u2RF/btq2h4frLpl/kkvBqRH0ARTfTGOZMOQHH1/img.png)
오류내용 : Web server failed to start. Port 8291 was already in use. 오류원인 : 해당 포트번호를 이미 사용하고 있을 경우 발생함 오류해결 : 1. cmd에서 netstat -ano | findstr 8291 입력 2. taskkill /F /PID 7292(PID값) 입력하여 해당 PID를 죽이면됨 3. 다시 netstat -ano | findstr 8291 조회하여 정상적으로 죽었는지 확인 다음과 같이 8291 포트의 PID 값을 확인한 후 taskkill로 죽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namubada.net/350?category=781472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qmT8t/btq2iDBLPo2/PehcZbVQL3v8KOmXyVvbIK/img.png)
오류내용 : cvc-complex-type.4: Attribute 'version' must appear on element 'web-app'. 오류원인 : web-app 요소에 반드시 버전을 표기해야만 하므로 버전을 표기하지않았을 경우 발생한다. 오류해결 : web-app 요소에 버전 표기 후 해결 다음과 같이 버전 표기가 안되어 있을 경우 오류가 발생한다. 버전 표기 후 문제가 해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namubada.net/349?category=781472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KT5JW/btq2gw5jOgr/OO3YWXwDK4Iz5teKkV8Ldk/img.png)
오류내용 : 기본 클래스 net.bytebuddy.agent.Attacher을(를) 찾거나 로드할 수 없습니다. 오류원인 : main.class를 java run으로 실행해야 하나 잘못했을 경우 오류해결 : 1. 아래 기재한 대로 진행 2. 프로젝트 클린 3. 이클립스 재부팅 스프링 부트로 공부를 하면서 책 내용대로 진행하였으나 필자의 경우 오류: 기본 클래스 net.bytebuddy.agent.Attacher을(를) 찾거나 로드할 수 없습니다. 오류가 발생하였다. 필자의 경우 Run 방법이 잘못되어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했다.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이 프로젝트 우클릭 > Run as를 하는게 아니라 main method가 있는 Class를 마우스 우클릭하여 Run as를 진행해서 Java..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ZBl2n/btq2hB5IEkh/xeoHs0bVNa1xrLn5F3Do9K/img.png)
프로젝트를 아래와 같이 Maven Install시 [ERROR] No compiler is provided in this environment. Perhaps you are running on a JRE rather than a JDK?와 함께 install이 실패하였다. 해당 문제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수정이 가능하다. 우선 window > preferences로 이동한다. Installed JREs로 이동한다 . Installed JREs에 jre1.8.0이 등록된 것이 보인다. 삭제해도 무방하니 삭제를 원할 경우 삭제한다. 필자는 삭제를 하지않고 우측에 add 버튼을 클릭했다. Standard VM으로 선택 후 NEXT를 클릭한다. C:\Program Files\Java\jdk1.8.0_60 디렉..
pom.xml에 의존성 추가하기 org.springframework.boot spring-boot-devtools 2.0.4.RELEASE application.properties에 아래 내용 추가 spring.devtools.livereload.enabled=true spring.freemarker.cache=false spring.thymeleaf.cache=false 위와 같이 추가한 후 다시 정적 소스 코드 수정 후 새로고침을 하면 변경된 부분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namubada.net/385?category=781471
1. VO와 DTO의 현재 상황 2. VO란 무엇인가 3. DTO란 무엇인가 4. VO와 DTO의 사용방법 1. VO와 DTO의 현재 상황 현재 필자를 포함한 일부 개발자는 VO와 DTO의 정확한 개념 구분이 안되는 경우가 많다. 필자 역시 VO와 DTO를 동일한 개념으로 생각하고 지냈었으며, VO를 마치 DTO와 같이 사용했었다. 이는 아마 일부 또는 많은 개발자가 그렇게 사용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필자가 봐았던 일부 국내 스프링 서적 역시 VO를 DTO로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기회에 VO와 DTO에 대해 알아보고 정확하게 쓰고자 이 포스팅을 작성하게 되었다. 2. VO란 무엇인가 VO(Value Object)란 (Value Object)의 약자로 값 객체를 의미한다. 오직 read만 가능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