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정보/IT 용어: 46개의 글
프로그래밍을 할 때 클래스나 변수를 구분하기 위해 다양한 이름을 붙인다. 이 때 암묵적으로 Camel Case나 Pascal Case와 같은 이름 규칙을 적용한다. 1. Camel Case- 각 단어의 첫문자를 대문자로 표기하고 붙여쓰는 표기법- 띄어쓰기 대신 대문자로 단어를 구분하는 표기 방식- 첫 단어를 소문자로 시작 - 메소드, 변수의 이름에 적용- 예시 : backgroundColor, typeName, iPhone 2. Pascal Case- 첫 단어를 대문자로 시작하는 카멜 표기법- 클래스의 이름에 적용 - 예시 : BackgroundColor, TypeName, PowerPoint ※ 상수의 경우 모든 문자를 대문자로 구성한다. (둘 이상의 단어일 경우 _(언더바)를 사용) 출처: https..
OS 관련 용어 BIOS컴퓨터에 접속된 기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군을 말한다. OS를 기동시키기 전에 메모리나 하드웨어 등을 체크한다. 컴퓨터의 전원을 넣은 후에 특정 키를 누르면 BIOS 화면이 나타난다.cf.) BIOS의 기능1) 시스템 파라미터 설정2) 전원 관리3) CPU/메모리 설정4) 주변 기기 설정 마더보드(Mother board)메인보드라고도 하며, 컴퓨터를 작동하기 위한 부품 등을 꽂는 회로기판이다.CPU나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 컴퓨터를 구성하는 부품을 접속하고 데이터 처리와 부품의 제어를 수행하는 기판이다. CPUCPU라고 하며, 외부에서 정보를 입력받아 기억하고 명령을 해석하여 외부로 출력한다.컴퓨터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연산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로, 중앙연산처리 장치라고 하며 인간의 ..
네트워크 관련 용어 LAN(Local Area Network)한 건물 내 또는 학교나 회사 등 비교적 좁은 범위에 한정된 지역 내에 있는 컴퓨터를 통신선으로 연결한 네트워크로, 근거리 통신망이라고도 한다. WAN(Wide Area Network)광역 통신망으로, 먼 거리의 지역을 하나로 묶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말한다.공중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전용선이나 ISDN 등을 이용하여 위치적으로 떨어진 지역 내에 있는 컴퓨터를 광범위하게 연결한 네트워크로, 관역 통신망이라고도 한다. 방화벽(Firewall)인터넷 접속 시 외부 네트워크로부터의 액세스에 대해 보안을 확보하기 위해 특정한 액세스를 제한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프로토콜컴퓨터끼리 통신을 할 때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이나 데이터 구성 등이 양쪽 모두 통..
ㅎ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인터넷에서, 웹 서버와 사용자의 인터넷 브라우저 사이에 문서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규약을 말한다.인터넷에서 하이퍼텍스트(hypertext) 문서를 교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통신규약이다. 하이퍼텍스트는 문서 중간중간에 특정 키워드를 두고 문자나 그림을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연결시킴으로써, 서로 다른 문서라 할지라도 하나의 문서인 것처럼 보이면서 참조하기 쉽도록 하는 방식을 의미한다.http는 1989년 팀 버너스 리(Tim Berners Lee)에 의하여 처음 설계되어 인터넷을 통한 월드 와이드 웹(World-Wide Web) 기반에서 전 세계적인 정보공유를 이루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http의 첫번째 버전은 인터넷을 통하여 ..
ㅍ 프로세스 [process] 컴퓨터 내에서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일컫는 용어.여러 분야에서 과정(過程) 또는 처리(處理)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용어로, 컴퓨터 분야에서는 ‘실행중인 프로그램’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1960년대 중반 멀틱스(Multics:multiplexed information and computing service) 시스템을 설계한 벨전화연구소의 연구원들이 처음 사용했다고 알려져 있다. 프로그램 또는 그 일부를 뜻하기도 하고, 데이터의 입력이나 출력 등을 조작하거나 처리하는 것을 말하기도 한다.부모프로세스(parent process)라는 상위계층과 자식프로세스(child process)라는 하위계층이 존재한다. 부모프로세스는 프로그램이나 명령어에 의해 시작되며, 자식프로세스는 부모프로세스..
ㅌ 트리 [tree] 트리 회로. 나무가 하나의 뿌리(root)에서 줄기(trunk)가 나와 가지(branch)로 나누어지는 것처럼, 어떤 하나의 집합(레코드나 디렉토리 등)으로부터 하위 레벨(lower level)로 가지가 나오는 집합 관계를 갖는 계층 구조(hierarchic structure)를 말한다. 부분적으로도 결코 루트를 형성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처음에 가지가 나오기 시작되고 있는 집합으로부터 차례대로 「가지」를 더듬어가면 목적의 집합을 찾을 수 있다. 정보 처리 분야에는 이 같은 트리 구조(tree structure)를 가진 개념이 많이 있고, 이 트리 구조에는 순서 트리(ordered tree)나 2진 트리(binary tree) 등이 있다. 태그 [tag] 어떤 언어의 요소 기술자..
ㅋ 클라이언트 [client] 클라이언트/서버(client/server) 구성에서 사용자측.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했을 때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자신을 지칭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컴퓨터를 가리키기도 하며, 컴퓨터에서 동작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될 수도 있다. 컴퓨터 시스템의 프로세스는 또 다른 컴퓨터 시스템의 프로세스를 요청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 서버에 정보나 응용 프로그램을 요구할 수 있는 PC 등의 처리 기능이 있는 워크스테이션을 말하며 객체 연결 및 포함(OLE)에서는 서버 응용 프로그램이라는 다른 응용 프로그램에 데이터를 포함시켜 놓은 응용 프로그램을 말한다. 파일 서버로부터 파일의 내용을 요청하는 워크스테이션을 파일 서버의 클라이언트라 한다. 각각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하나 또는 그..
ㅈ GPKI [Government Public Key Infrastructure , 政府公開-基盤構造 ] 전자 정부 구축을 위해 행정 기관 간 전자 문서 교환 또는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전자 행정 서비스 제공 시 해당 공무원의 신원 확인 또는 행정 전자 문서의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한 체계. 우리나라의 경우 전자 정부법에 의해 정부가 정책 및 최상위 인증 기관을 담당하고 있고 각 부처에서 인증 기관의 역할을 수행한다. 현재 정부 공개 키 기반 구조(GPKI)의 업무 범위는 행정 기관에서 금융 기관 및 공공 기관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cf.)최근 국공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공인인증 로그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인증서를 이용해서 로그인을하겠다는 말인데........... 인증서는 NPKI 와 GPKI..
ㅇ 인터페이스 [interface] (1) 두 가지 시스템 또는 장치(equipment)가 결합해 있는 경계(boundary)이며, 하드웨어적으로도 소프트웨어적으로도 사용되는 용어이다. 하드웨어적인 것만을 가리킨다든지 소프트웨어적인 것만을 가리킨다든지 또는 그들 모두를 규정하고 있는 것이 있다. 여기서 말하는 하드웨어적인 것이란 물리적 조건, 회로의 조건, 전기적 조건 등을 말하며, 소프트웨어적인 것이란 논리적 혹은 프로그램 간의 조건을 말한다.(2) 복수의 구성 요소. 예를 들면, 중앙 처리 장치(CPU)와 입출력 장치(input-output unit)를 결합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장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공유하고 있는 레지스터(register) 등이다. 여러 가지의 컴포넌트를 조합하여 하나를 ..
ㅅ 스크립트 [script] 컴퓨터 프로세서나 컴파일러가 아닌 다른 프로그램에 의해 번역되고 수행되는 명령문의 집합.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닌 언어로 작성한 짧은 프로그램이나 명령어들을 의미한다. 컴파일러로 작성된 C나 C++와 같은 언어들에 비해 제한된 능력을 지니고 실행속도도 느리지만 프로그램을 쉽고 빠르게 작성할 수 있다. 주로 제한된 능력을 가진 프로그램이나 컴파일된 기존 프로그램과 연결하여 재사용되는 프로그램들을 만드는 데 적당하다. 용도가 유용하여 기능이 꾸준히 업그레이드되고 있으며, 새로운 것도 계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유닉스 중심의 펄(PERL)과 넷스케이프의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마이크로소프트의 VBSscript 등이 유명하며, IBM의 REE와 선마이크로시스템즈의 Tcl/T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