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nkins: 14개의 글
Jenkins 프로젝트 빌드!! 프로젝트를 구성한 후 저장을 하게 되면 확인할 수 있는 화면입니다.작업 공간은 빌드하려는 소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jenkins에 프로젝트를 등록하면 처음에는 작업공간이 비어있어요! 위에 화면 처럼 Error : no workspace...작업공간을 만들기 위해(소스를 가져오기 위해) 'Build Now' 클릭! 작업공간을 다시 확인하면 SVN에 있던 소스들을 확인할 수 있어요!! 'Build History'를 보면 몇 번째 빌드인지, 언제한 빌드인지, 성공 실패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빌드 앞에 있는 파란 공은 빌드 성공을 뜻해요, 빌드를 실패하면 빨간 공이 생깁니다 ㅠㅠ 빌드 번호를 클릭하면 해당 빌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요! 위에 그림은 세 번째 ..
Jenkins 프로젝트 등록하기!! (새로운 Item) 젠킨스를 사용하기 위해 프로젝트를 등록합니다!! -> 젠킨스 메인 화면에서 '새로운 Item' 클릭!클릭! 프로젝트 이름을 입력하고, 생성할 프로젝트의 종류를 선택합니다. -> 'Freestyle project' 를 선택 후 OK 버튼 클릭!클릭! 프로젝트 구성 화면입니다~프로젝트의 설명, 소스코드, 빌드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소스코드 관리는 'SVN(Subversion)'을 선택했어요!! SVN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필드들이 나타납니다!!Repository URL등 필요한 정보들을 입력하시면 됩니다.접근 권한이 필요하면 빨간색 글씨가 나오는데요, 'enter credential'이라는 링크를 누르면 계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소스 ..
1. https://jenkins.io/ > 젠킨스 홈이 나오면 설치 성공입니다. =) 출처 : https://cafe.naver.com/devops/45[출처] java -jar를 이용한 jenkins 설치 방법 (ALM/Dev-Ops software 사용자 모임) |작성자 곽나영
1. 젠킨스 사이트 가서 젠킨스 war를 다운로드 받습니다.https://jenkins.io/ 2. Tomcat 설치 경로를 찾아가 webapps 폴더 밑에 'jenkins.war' 를 갖다 놓습니다. 3. Tomcat\bin 경로에 가서 startup.bat 파일을 실행시킵니다. 4. http://localhost:8080/jenkins [Enter] >> 젠킨스 홈이 나오면 설치 성공입니다. =) 출처 : https://cafe.naver.com/devops/37[출처] tomcat을 이용한 jenkins 설치 방법 (ALM/Dev-Ops software 사용자 모임) |작성자 곽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