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버네티스: 14개의 글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DIJFn/btq3ncEoPh6/NyDQBBFbLodz2RDBdlsWo1/img.png)
지금까지 쿠버네티스에 대한 포스팅을 여러개 했는데, 더 진행하기 앞서 쿠버네티스에서 사용하는 용어 및 개념들을 정리하면 좋을듯 해서 포스팅한다. 마스터&노드 쿠버네티스의 클러스터의 구조에서 전체 클러스터를 관리하는 마스터 노드가 있고, 도커 컨테이너가 배포되는 노드가 존재한다. Pod Pod는 쿠버네티스에서 가장 기본적인 배포 단위로, 하나 이상의 도커 컨테이너의 묶음이다.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 단위로 배포하는 것이 아니라, Pod이라는 하나 이상의 도커 컨테이너로 이루어진 단위로 배포가 된다. 그렇다면 개별적인 컨테이너로 배포하지 않고, Pod이라는 단위로 배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Pod 내의 컨테이너는 IP와 Port를 공유한다. 즉, 서로 localhost로 통신이 가능한 것이다. Pod 내에 배..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DK2V/btq3ncj3cun/Rxw5cfJCyUyINVwwejno80/img.png)
보통 쿠버네티스를 사용하면 단일 클러스터 환경에서 운영하지 않는다. 보통 Phase 별로 클러스터를 구성하기도 하고, 각 Phase의 클러스터는 하나 이상의 노드를 갖는 클러스터 형태인 경우가 많다. 또한 쿠버네티스를 사용하면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혹은 미들웨어를 디플로이먼트나 서비스, 컨피그맵 혹은 인그레스 등 여러 종류의 리소스를 조합하는 형태로 배포한다. 그런데 각 Phase마다 배포시 달라지는 정보들이 많다. 예를 들면 개발환경의 데이터베이스 주소와 프로덕환경의 데이터베이스 주소가 다른것처럼 말이다. 그렇다면 모든 환경마다 매니페스트를 작성해야하나? 만약 Phase가 많다면 관리가 쉽지 않을 것이다. 이렇게 배포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설정값만 정의해 둔 다음 이에 따라 배포하는 메커니즘이 필요하게 ..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nqRRE/btq3mdquFPF/pL8eKGTt2N6KV4HpXhNQhk/img.png)
이전 포스팅에서 쿠버네티스란 무엇이고, 간단하게 팟,레플리카셋,디플로이먼트를 다루어보았다. 이번 시간은 이렇게 띄운 팟을 외부로 서비스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인그레스에 대해 다룰 것이다. 서비스(Service) 서비스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안에서 파드의 집합에 대한 경로나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제공하는 리소스다.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파드는 서비스에서 정의하는 레이플 셀렉터로 정해진다.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sample-service spec: selector: app: springboot-web ports: - port: 80 protocol: TCP targetPort: 8080 위는 Service 매니페스트 파일이다. 셀렉터로 우리가 띄운..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Wqru/btq3suDx8gR/mYq7xZ1R78PP1UAYFHpNf0/img.png)
이번 포스팅은 kubernetes에 대해 다루어본다. 사실 쿠버네티스를 다루기 위해서는 docker(도커)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지만 여기에서는 다루지 않는다. 그렇다면 쿠버네티스란 무엇인가? 쿠버네티스란?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 운영을 자동화하기 위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도구이다. 많은 수의 컨테이너를 협조적으로 연동시키기 위한 통합 시스템이며 이 컨테이너를 다루기 위한 API 및 명령행 도구등이 함께 제공된다. 컨테이너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배포 외에도 다양한 운영 관리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다. 도커 호스트 관리, 서버 리소스의 여유를 고려한 컨테이너 배치, 스케일링, 여러 개의 컨테이너 그룹에 대한 로드 밸런싱, 헬스 체크 등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쿠버네티스 이외에도 도커 컴포즈, 스웜, 스택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