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 13개의 글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J2rqw/btq20FtWsyw/HHNvFhcKLMKLgsyts8lMDK/img.png)
1. 배열의 정의 배열(Array) : - 인덱스와 원소값의 쌍()으로 구성된 집합 - 배열의 각 원소들은 자료형과 기억 공간의 크기가 같다. - 메모리의 물리적인 위치를 순서적으로 결정하는 특징이 있다. - 배열의 논리적인 순서(인덱스)는 메모리에 저장되는 원소값의 물리적인 순서(메모리 주소)와 동일하다. - 배열의 첫 번째 원소의 메모리 주소와 인덱스를 통해 특정 원소의 주소값을 계산할 수 있다. - 직접 접근(direct access) : 인덱스를 이용해 접근하므로 - 자료구조의 유형 중 선형 구조에 해당한다. - 각 원소의 이름은 고유한 이름이 없고 원소의 위치에 따라 정해진다. 메모리 영역의 추상화와 구체화(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그림의 좌측은 16진수로 표현되는 메모리의 실제 주소, 가운데..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huXJ3/btq2YR2rqJc/60fv2rxnpfGrbRMENSSv0k/img.png)
1. 자료와 정보의 관계 자료(data) : 현실 세계에서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수집된 값(value)이나 사실(fact) 정보(information) : - 어떤 상황에 대해 적절한 의사결정(decision)을 할 수 있게 하는 지식(knowledge)으로서 자료의 유효한 해설(interpretation)이나 자료 상호간의 관계(relationship)을 표현하는 내용 - 자료의 2차 처리 결과물 자료와 정보의 관계는 수식 I = P(D)로 표현할 수 있다. (I : Information, P : Process, D : Data) 2. 추상화의 개념 추상화 : 공통적인 개념을 이용하여 같은 종류의 다양한 객체를 정의하는 것 자료의 추상화는 다양한 객체를 컴퓨터에서 표현하고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의 ..
자료구조의 개요, 특징, 분류 1. 자료, 정보, 자료구조 (1) 자료와 정보 자료(data)란 현실 세계로부터 수집한 사실이나 개념의 값 또는 이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흔히 가공되지 않은 형태의 데이터를 자료라고 하며 특정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자료를 처리/가공한 형태의 데이터를 정보(information)라고 한다. (2) 자료구조 자료구조(data structure)란 자료의 집합을 의미하며 각 원소들 사이의 관계가 논리적으로 정의된 일정한 규칙에 의하여 나열되며 자료에 대한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자료를 조직적, 체계적으로 구분하여 표현한 것을 말한다. (3) 자료구조의 선택 기준 작업의 효율성, 추상화, 재사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황에 따른 적절한 자료구조를 선택하여 사용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