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50개의 글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wQaTR/btqZWN9qryv/56T9K5nro49tz3A49DX6Vk/img.png)
Windows Server에 VM으로 CentOS를 띄워놨는데 서버장비 위치를 옮긴다고 껐다 키게되어 VM을 재기동을 했더니.. 뭐 프로그레스바가 한참 올라간다 싶더니만 99%즈음에서 멈춘다. 그리고는 한참을 멈춰있다가 확인해보니 아래와 같은 메세지를 남겨놨다 Failed to load SELinux policy, freezing. 부팅하려는데 위와 같은 메세지가 발생한다면, /etc/selinux/config 파일 설정이 잘못된 경우이다. 하지만 나의 경우 해당 config 파일의 설정을 손댄적이 없는데, 아무래도 서버에 VM으로 돌아가다보니 내가 모르는 어느순간 특정모듈이 설치되면서 config 파일을 손댄 듯 하다. 어찌됐든 지금 리눅스 접속이 안되는 상황에 /etc/selinux/config 파일..
# 서론 윈도우에 익숙한 우리 일반인은 압축파일이라 하면 단연 .zip 파일부터 떠올린다. 현 시대의 PC환경에선 압축에 대한 여러 리소스(CPU, 시간, 호환 등)을 고려하지 않는다. 그러나 리눅스환경에서는 이러한 사소한 리소스가 곧 돈이다..... 이러한 압축 확장명도 고려하여 선택하고 이용한다. # 본론 1. ZIP - 윈도우 환경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압축 확장자 장점 : 거의 모든 OS환경에서 호환된다. 단점 : 용량 압축이 낮다. 압축하기 : # zip -r FILENAME.zip FILENAME 압축풀기: # unzip FILENAME.zip ........zip 설치 진행........ [root@localhost ~]# yum install zip ......압축하기..........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eTyU/btqZZUfFcOw/vGXkmRVowTnVS86UMM7IUK/img.jpg)
#개요 VirtualBox로 CentOS7을 셋팅했는데, putty를 쓰기위해 sshd를 설치하려고 yum명령어를 쓰니 자꾸 아래와같은 메세지를 준다. loaded plugins: fastestmirror 뭔가 하고 가만봤더니 인터넷이 연결되어있지 않은걸보고.. 구글링했다가 간단한 방법이 있는걸 보고 따로 정리한다. #방법 ping naver.com 라고 날렸을때 ping: naver.com: Name or service not known 라고 뜬다면, ping 8.8.8.8을 날려본다. connect: Network is unreachable 라고 네트워크에 도달할수없다고 뜬다.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onf-enp0s3 으로 파일을 연다 하단에 ONBOOT가..
1. SSH이란? 시큐어 셸(Secure Shell, SSH)은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토콜을 가리킨다. 기존의 rsh, rlogin, 텔넷 등을 대체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강력한 인증 방법 및 안전하지 못한 네트워크에서 안전하게 통신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기본적으로는 22번 포트를 사용한다. SSH는 암호화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통신이 노출된다 하더라도 이해할 수 없는 암호화된 문자로 보인다. 출처 : 위키백과 2. CentOS에서 SSH 설치 putty에서 리눅스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어찌됐던 SSH가 필요하다.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다면 아래의 방법으로 쉽게 ..
1. netstat? netstat은 TCP통신을 하는 서비스의 연결상태를 보여준다. netstat 명령어는 리눅스와 윈도우 둘다 가능하다. 서로 옵션에서 약간씩 틀림점이 있긴하나 전반적인 사용법은 동일하다. netstat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정보가 나열된다. Proto Recv-Q Send-Q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tcp 0 0 X1X.2XX.XX3.2XX:4XXX8 1XX.2XX.1XX.2XX:8XXX ESTABLISHED tcp 0 0 X1X.2XX.XX3.2XX:4XXX8 1XX.2XX.1XX.2XX:8XXX ESTABLISHED 예시 설명 Proto : 프로토콜의 종류 (TCP/UDP) Local Address : 로컬 (자신) IP와 포트..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6XKD/btqZV6nPrv0/5BkRqBdkm2ishenf7SFaD1/img.jpg)
#개요 서버 설정하고 세팅하는데 정신없다. 항상 초기설정이 어렵다. 할때 찾아보고 뒤돌아서면 까먹으니까.. 아래 테스트 및 내용은 CentOS에서 테스트한 기반으로 작성한 내용이다. 1. 현재 리눅스에서 열려있는 포트 확인 1.netstat -tnlp TCP 중에서(t), Listening상태[열린포트]인 애들만(l), 상세정보까지(p), 10진수 숫자로(n) 표기한다. [dklee@localhost ~]$ netstat -tnlp Active Internet connections (only servers) Proto Recv-Q Send-Q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PID/Program name tcp 0 0 0.0.0.0:22 0.0.0.0:* LISTEN - ..
1. 기능 파일 내에서 특정 패턴을 검색한다. 이름은 Global Regular Express Printer 의 머리글자이다. 2. 문법 # grep [ -vclhnief ] 표현 파일명(들) # fgrep [ -vclhnief ] 문자열 파일명(들) 3. 옵션-type pattern 형식이 pattern인 것. -V : 일치되는 내용이 없는 라인을 표시한다. -C : 일치되는 내용이 있는 행의 개수를 센다. -I : 일치되는 내용이 있는 파일의 이름만을 표시한다. -h : 일치되는 내용을 찾은 파일의 이름을 표시하지 않는다. -n : 일치 내용이 있는 행은 행 번호와 함께 표시된다. -i : 대소문자 구분을 하지 않는다. -e 표현 : 표현이 하이픈 문자로 시작될 때 사용한다. -f 파일 : 찾으려는 ..
Apache를 이용하여 웹 서비스를 하다보면 사용자의 접속로그등이 서버에 누적되게 된다. 이 로그를 기본으로 사용할 경우 1개 페이지의 접속에 대하여 상당히 많은양의 로그를 남기게 되는데, 예를들어 A라는 사용자가 HTML로 구성된 1.jsp를 호출한다고 하였을때 아파치 로그는 1.jsp 안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이미지, css, js 등을 모두 접속로그로 기록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log의 크기가 급격하게 커지게 되고, 이는 서비스의 영향을 줄 수도 있는만큼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하면 좋다. 특정항목들에 대해 로그 기록을 제외시킬수 있는데, 오늘은 이미지를 제외시키는 방법을 예제로 확인해 보겠다. 1. log_config_module 수정 우선 ${Apache_HOME}/conf/httpd.co..
아파치를 운영해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아파치에서 쌓는 접속 로그는 별다른 설정을 하지 않으면 해당 파일에 계속 로그를 쌓게 된다. 즉 1개 파일에 10GB, 20GB 등등 계속 쌓게 되는데, 사실 아파치 로그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는것은 좋지 않다. 사용자가 접속을 할때마다 Apache는 로그를 남겨야 하는데, 로그 파일의 사이즈가 클 경우 마지막줄에 로그를 기록하는데 시간이 오래걸려 오히려 아파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로그 분석 및 보관시에도 불편함이 따르므로 가급적이면 로그를 월별 또는 일별로 저장되게끔 하는게 좋다. 아파치 로그를 월별 또는 일별로 저장되게 하기 위해서는 "${APACHE_HOME}/bin/rotatelogs" 를 이용하여 설정해주면 된다. Apache의 설정파일이나 ..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할때 사용하는 브라우저는 웹페이지 접근시에 이미지, 문서 등과 같은 파일을 임시로 하드디스크에 저장한다. 이를 웹브라우저 캐시라고도 한다. 하드디스크에 저장하는 이유는 이후 동일 사이트 접속시 미리 최근에 저장해놓은 파일들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를 빠르게 로딩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캐시는 영원히 디스크에 남는것이 아니고, 주기적으로 삭제가 된다. 웹 브라우저는 단지 최근에 방문한 사이트만의 캐시만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사실 개발자 입장에서는 캐시를 적절하게 사용하면 웹사이트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나같은경우 에전에 진행했던 프로젝트에서 한 화면에 노출되는 이미지의 용량이 엄청났었는데, 사용자가 웹페이지에 접속하면 이미지들을 불러오느라 꽤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