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들: 5개의 글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zFTv/btq2Rlf6B7T/cHVHoRUQfkpPUS4vOOb0X1/img.png)
그래들 프로젝트를 사용중인데, 간혹 idea에서 "Could not initialize class org.codehaus.groovy.runtime.InvokerHelper"라는 에러 메시지가 뜨는 경우가 있다. 여러가지 요인이 있을 수 있지만, 필자가 저 에러를 보았던 순간은 jdk 1.8에서 jdk14 버전으로 올리면서 났던 에러 메시지 인데, 이유는 gradle version이 jdk14를 지원하지 못하는 낮은 버전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프로젝트 디렉토리중 "gradle/wrapper/gradle-wrapper.properties"에서 gradle 버전을 올려주어서 해결하였다.(5.x -> 6,3) 출처: https://coding-start.tistory.com/378?category=8209..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pGco2/btq2NqQhT26/a7dekEs3D593eWMmSBwDqK/img.png)
> $HOME/.gradle/caches/modules-2/files-2.1/ > rm -rf > ./gradlew --refresh-dependencies 출처: https://coding-start.tistory.com/363?category=820992 [코딩스타트]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o0JhA/btq2MbzNSEM/oZlQsj935ALn7XaNINSb31/img.png)
이번 포스팅은 간단하게 Gradle Task를 작성하는 방법이다. 모든 경우의 Task 작성 방법을 다루지는 않지만 몇가지 예제를 다루어볼 것이다. task hello{ doLast{ println 'Hello' } } 위는 간단하게 'Hello'라는 문자열을 출력하는 태스크이다. 아래 명령으로 실행시킨다. gradle -q hello result-> Hello -q 옵션 같은 경우는 로그 출력없이 결과값만 출력하는 옵션이다. 만약 -q 옵션을 뺀다면 빌드에 걸린 시간등의 로그가 찍히게 된다. 디폴트 태스크 정의 gradle -q 라는 명령어로 실행하는 디폴트 태스크를 정의하는 방법이다. 보통 빌드전에 clean, install 등의 작업을 기계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은데, 디폴트 태스크로 정의하여 사용하..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VJDO1/btq2OpQPVld/0cufJXRRxyPYrfEvv1jVS1/img.png)
이번 포스팅은 그래들을 이용한 자바 프로젝트 구성에 대해 다루어볼 것이다. 그래들로 자바 프로젝트를 초기화 하는 방법은 이전 포스팅에 있으니 참고 바란다. Gradle - Gradle의 기본 자바 타입으로 그래들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아래와 같은 기본 디렉토리 구조를 가진다. src -main -java -test -java 그래들의 자바 플러그인의 Task 의존 관계는 아래 그림과 같다. build를 실행하게 되면 compileJava와 test Task가 실행된다. 그런데 이전 단계 Task가 실패하면 다음 단계는 진행되지 않는다. -컴파일시 인코딩 오류가 날 경우 >gradle compileJava 위와 같은 명령으로 컴파일 할때 인코딩 문제가 있다면 아래와 같이 옵션 값을 넣어준다.(build.gr..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jJTm/btq2LlvWhw6/WzW70ndsoc9zc6HJGO7nBK/img.png)
이번 포스팅은 Gradle에 대한 기본을 다루어볼 것이다. 사실 Gradle이 뭔지 모르는 개발자는 거의 없을 것임으로,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을 것이다. Gradle은 빌드툴이다! (마치 Maven과 같은) Gradle 내부 프로젝트 인터페이스 Project >final DEFAULT_BUILD_FILE >DEFAULT_BUILD_DIR_NAME >GRADLE_PROPERTIES >SYSTEM_PROP_PREFIX >Task task(String name, Closure configureClosure) 프로젝트 인터페이스는 그래들로 프로젝트를 설정하고 구성할 때 사용하는 파일로, 그래들 프로젝트를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인터페이스이다. default_build_file 파일은 프로젝트 설정에 대한 정보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