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Cloud/RabbitMQ: 32개의 글

오늘 포스팅할 내용은 래빗엠큐이다. 그 동안에는 카프카를 사용할 일이 많아 카프카에 대한 포스팅이 주였는데, 이번에 래빗엠큐를 사용할 일이 생겨 간단히 래빗엠큐에 대해 간단히 다루어 볼것이다.(예제 코드는 위 깃헙에 올려놓았습니다.) 비동기 작업에 있어 큐를 사용하려면 중간에 메시지 브로커라는 개념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메시지 브로커에는 RabbitMQ, Kafka 등이 대표적으로 있다. 해당 포스트에서는 표준 MQ프로토콜인 AMQP를 구현한 RabbitMQ(래빗엠큐)에 대해 다루어볼 것이다. 간단하게 메시지큐는 아래 그림과 같은 워크 플로우로 이루어져있다. 대부분의 메시지큐는 프로듀서가 있고, 해당 프로듀서가 브로커로 메시지를 발행하면, 적절한 컨슈머가 해당 메시지를 구독(읽다)하는 구조이다. 그렇다면..

Spring - 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메시징 서비스 -리액티브 마이크로서비스 Mac OS 환경에서 작성되었습니다. 오늘은 간단히 Spring boot + 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메시징 서비스를 구현해볼 것이다. 일단 이 포스팅을 진행하는 이유는 요즘 시대에는 일체형 애플리케이션이 작은 서비스 단위인 마이크로서비스 단위로 나누어 서비스 단위로 배포하는 아키텍쳐가 대세인듯하다. 이 말은 즉슨, 아주 큰 애플리케이션이 작은 서비스 단위(마이크로서비스)로 나뉘어 각각 단독적으로 독립적으로 실행가능한 상태로 배포가 된다. 이런 경우 마이크로서비스끼리의 통신은 RESTful한 통신도 있지만 메시지 큐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여 비동기적으로 통신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 구조를 발행구독구조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