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글
Isolation level : 트랜잭션에서 일관성이 없는 데이터를 허용하도록 하는 수준Ø ANSI에서 작성된 SQL-92 표준은 4가지 Transaction Isolation Level 정의ü Read Uncommittedü Read Committedü Repeatable Readü SerializableØ Isolation level 조정은 동시성이 증가되는데 반해 데이터 무결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반해 동시성이 떨어질 수 있다.Ø 레벨이 높아질수록 비용이 높아짐. A. Read Uncommited Isolation Level (레벨 0)- SELECT 문장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에 shared lock이 걸리지 않는 레벨.- 트랜잭션에 처리중인 혹은 아직 ..
# CPU 코어 전체 개수 grep processor /proc/cpuinfo | wc -l # 물리 CPU 수grep 'physical id' /proc/cpuinfo | sort -u | wc -l # 물리 CPU 당 물리 코어수grep 'cpu cores' /proc/cpuinfo | tail -1 # HyperThreading 활성화 확인 (siblings이 cpu cores의 2배면 활성화)egrep 'cpu cores|siblings' /proc/cpuinfo | sort -u# 파일시스템 확인dmesg | grep sda4df -T # OS bit 조회getconf LONG_BI # 랜카드 지원속도 확인ethtool eth0 # 오라클버전 확인select banner from v$ver..
DBCP validationQuery 설정* 참고 사이트: http://linuxism.tistory.com/579 * 참고 사이트: Configuring the High Concurrency JDBC Connection Pool * 참고 사이트: DBCP 설정 정리 에러 메시지 일부분 - is longer than the server configured value of 'wait_timeout'. 원인 - 마지막으로 DB에 커넥션을 맺은후 사용이 없다 보니 데이터 베이스 커넥션이 끝겼다. 해결책 - 특정 시간마다 커넥션을 확인 하는 셋팅을 지정한다. 적용 코드 - MySQLvalidationQuery="select 1" - 오라클의 경우validationQuery="select 1 from dual" ..
tomcat dbcp를 이용하여 검색데이터 추출할 때, mysql 사용. mysql wait_timeout 설정(기본값 28800 , 8시간) 에 의해 커넥션이 연결된 이후 해당 커넥션의 close 없이 8시간이 지나면 해당 커넥션을 종료. ▶issue : 종료된 커넥션을 dbcp의 connection pool 에선 여전히 가지고 있는 상태. 이런 상황에서 DB 관련 프로그램이 호출되면 커넥션 관련 에러가 발생. ▶solution : java에서 DB를 사용하기 전에 해당 connection 이 정상적인지 검사를 하도록 하는 것. 이 옵션이 validationQuery. 와 같이 사용하면 된다. 오라클의 경우 : validationQuery="select 1 from dual" 출처 : blog.hoon..
DB Connection Pool을 사용하다가, 어쩌다가 가끔 커넥션이 끊겨 버리는 오류가 발생하기도 한다. 아래는 Jakarta Commons DBCP 커넥션 풀을 사용하면서 그런 현상이 발생했을 때의 대처 방법이다. 어떤 서버는 소켓이 열린상태로 장시간 아무런 데이터 이동없이 방치될경우 소켓을 강제로 닫아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보름에 한 번정도 발생한다는 것은 아마도, 보름에 한 번 정도 아무 사용자도 없는 상태가 장시간 계속되었기 때문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DBCP를 사용하시는 것으로 보이는군요. 그렇다면 설정을 통해 손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 DBCP 설정하기 참조 상세 설정은 DBCP를 어떻게 호출하느냐(Spring, 혹은 Tomcat DataSource 설정, 기타 등등)에 따라 전혀 ..
VI 편집기 [1] 시작 vi의 실행은 한글 환경에서 vi를 입력하면 되고, 콘솔모드에서 한글을 다루려면, han을 먼저 입력한 뒤, vi를 입력하면 됩니다. 예) >vi 읽기 전용 열기 예) >vi R file >view file [2] vi의 세가지 모드 vi명령어는 다음과 같이 입력 모드, 명령 모드, 콜론 모드(ex 모드) 크게 세가지로 분리됩니다. ① 입력 모드 i, a, o, I, A, O를 누른 후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 ② 명령 모드(Esc모드) ESC키를 누른 상태 ③ 콜론 모드(Ex모드) ESC키를 누르고, :(콜론)을 입력한 상태 ① 입력 모드 다른 편집기에서 타이핑을 하여 파일의 내용을 입력하는 과정 ② 명령 모드 다른 편집기의 편집(Edit) 메뉴에서 제공하는 복사(Copy..
Web에 대해 너무 몰라 조사하면서 정리한 자료 입니다. 혹 틀린 부분이나 부족한 부분이 있으면 댓글로 알려 주세요.. Web Server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Web Client(Brower)의 요청을 처리 담당, 주로 정적 컨텐츠를 처리 함(HTML, JS, CSS, 이미지) - IIS : ASP 지원 - Apache : PHP 지원 WAS (Web Application Server) 컨테이너라고도 하며 주도 동적 컨텐츠를 처리 함 (JSP, ASP, PHP, Servlet, CGI) 예를 들어 JSP의 경우 JSP 파일을 사용자가(Web Browser) HTML처럼 바로 볼수 없다. JSP 파일의 경우 Servlet -> JavaClass -> Compile를 통해 사용자가 볼수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