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shMap.put의 return 객체는 무엇일까?
1 2 3 4 5 | private Map<String, String> map = new HashMap<String, String>(); public boolean isPut(String text) { return map.put("test", text) != null; } | cs |
isPut 메소드와 같은(map에 데이터를 put하고 데이터가 잘 저장되었는지 확인하는 메소드) 메소드를 만든다고 가정해보자.
정상적으로 동작할까? HashMap에 put 메소드는 새롭게 저장된 데이터 즉, 새로운 key로 저장된 데이터라고 판단되면 null을 반환한다. 그러니까 위 코드는 한번 호출 됐다면 false를 return할 것이고, 두번 이상 호출 됐다면 true를 return할 것이다. 의도와 다른 메소드이다.
그렇다면 List는 어떨까?
1 2 3 4 5 | private List<String> list = new ArrayList<String>(); public boolean isAdd(String text) { return list.add(text); } | cs |
ArrayList 클래스에 add 메소드는 return type 자체가 boolean이다. 정상적으로 add되었다면 true를 return한다.
그럼 실제 put과 add 메소드를 살펴보자.
HashMap.pu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final V putVal(int hash, K key, V value, boolean onlyIfAbsent, boolean evict) { HashMap.Node<K,V>[] tab; HashMap.Node<K,V> p; int n, i; if ((tab = table) == null || (n = tab.length) == 0) n = (tab = resize()).length; if ((p = tab[i = (n - 1) & hash]) == null) tab[i] = newNode(hash, key, value, null); else { HashMap.Node<K,V> e; K k; if (p.hash == hash && ((k = p.key) == key || (key != null && key.equals(k)))) e = p; else if (p instanceof HashMap.TreeNode) e = ((HashMap.TreeNode<K,V>)p).putTreeVal(this, tab, hash, key, value); else { for (int binCount = 0; ; ++binCount) { if ((e = p.next) == null) { p.next = newNode(hash, key, value, null); if (binCount >= TREEIFY_THRESHOLD - 1) // -1 for 1st treeifyBin(tab, hash); break; } if (e.hash == hash && ((k = e.key) == key || (key != null && key.equals(k)))) break; p = e; } } if (e != null) { // existing mapping for key V oldValue = e.value; if (!onlyIfAbsent || oldValue == null) e.value = value; afterNodeAccess(e); return oldValue; } } ++modCount; if (++size > threshold) resize(); afterNodeInsertion(evict); return null; } | cs |
HashMap에 put 메소드를 호출하게되면 실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소드인 putVal 메소드이다. 29번 라인을 보면 주석으로 알 수 있듯이 동일한 key로 입력되었을때 기존 데이터를 return한다.
중요한 부분이다. 아래 표를 참고하자.
호출 횟수 | key | value | return value |
1 | test | woniper | null |
2 | test | kyungwon | woniper |
3 | test | lee | kyungwon |
ArrayList.add
1 2 3 4 5 | public boolean add(E e) { ensureCapacityInternal(size + 1); // Increments modCount!! elementData[size++] = e; return true; } | cs |
배열에 데이터를 저장한 후 무조건 true를 return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왜 이렇게 헷갈리게 메소드를 만들어놨을까 생각을 해보았는데, 같은 Collection API지만 자료구조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그렇다고 생각된다. 이런 메소드를 만들땐 잘 구분하고 생각해서 사용해야겠다.
출처 : https://blog.woniper.net/311?category=506090
'JAVA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ver 검색 API 예제 (0) | 2020.09.07 |
---|---|
java8 stream match (0) | 2020.09.07 |
SuperTypeToken #2 TypeToken(ModelMapper)과 ParameterizedTypeReference(Spring) 차이 (0) | 2020.09.07 |
SuperTypeToken #1 TypeToken(ModelMapper)과 ParameterizedTypeReference(Spring) 사용법 (0) | 2020.09.07 |
[AWS : Amazon Web Service] Java S3 사용 (1) | 2020.09.04 |
[java] AES256 암호화 (0) | 2020.09.04 |
SuppressWarnings-이건-뭐지 (0) | 2020.07.02 |
[Java] 객체를 제거하는 방법 (0) | 2020.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