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base: 2개의 글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4ilUm/btq3z5dQvnA/0dhBVqYdFietkCrMln3uw1/img.png)
오늘 다루어볼 내용은 git의 cherry-pick(체리픽)이다. 보통 체리픽을 사용하는 이유는 다른 브랜치의 커밋의 일부만 가져올때 많이 사용한다. 간단하게 예제를 다루어보자. > gb * [1] feature/add-function [2] feature/update-function 위처럼 두개의 브랜치가 존재하고 각 브랜치의 커밋로그는 아래와 같다. > feature/add-function * 13e321a - (HEAD -> feature/add-function) add c.txt (9 minutes ago) * f894b25 - add b.txt (9 minutes ago) * 35402a1 - add a.txt (9 minutes ago) > feature/update-function * cb6..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IR3x6/btq3CzklFI2/ThAZRhmrkGhF5G55CXbQX0/img.png)
Git에서 한 브랜치에서 다른 브랜치로 합치는 방법은 두 가지다. 하나는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 Merge이고 다른 하나는 Rebase이다. Rebase 상황을 이전 포스팅에서 다루어봤던 merge 상황이랑 비교해보자. Git - fast-forward merge 란? fast-forward & 3-way Merge의 차이점 아래와 같은 상황이 있다. 이 상황에서 3-way-merge를 하면 그래프상태는 아래와 같은 상태가 된다. #current branch master > git merge issue-1 그런데 Rebase를 하면 어떻게 될까? #current branch issue-1 > git rebase master > git checkout master > git merge issue-1 실제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