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eless: 2개의 글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Z5Nh/btq1vimkIfl/RK6SkmexTDkHUls2AZE9G0/img.jpg)
1. 개념 RESTful API에서 나오는 REST의 개념은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라는 용어의 약자로서 로이 필딩의 박사학위 논문에서 최초로 공개된 개념입니다. HTTP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는 아키텍처죠. 2. REST 구성 1. 자원(Resource) - URI 2. 행위(Verb) - HTTP method 3. 표현(Representation) 3. REST 특징 1. Uniform : URI로 지정한 리소스에 대한 조작을 통일되고 한정적인 인터페이스로 수행 2. Stateless : 작업을 위한 상태정보를 따로 저장하지 않음(Session, Cookie 정보를 별도로 관리하지 않음), API 서버는 들어오는 요청만 간단하게 처리하면 됨 => 서비스의 자유도가 향상..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il7Vw/btq1pAgaJ7j/arckCBeN6kpcVg1JmX9fbK/img.png)
Stateless란 http와 같이 client의 이전 상태를 기록하지 않는 접속이란 의미입니다. 그에 비해 Stateful은 client의 이전 상태를 기록하고 있는 것이죠. Stateless는 웹서버가 사용자의 작업을 기억하고 있지 않다는 의미이고 Stateful은 사용자의 상태를 서버가 기억하고 있다가 유용한 정보로써 활용한다는 것입니다. 출처: https://engkimbs.tistory.com/114?category=688997 [새로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