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4: 2개의 글
스위치란? 네트워크를 연결하거나, 패킷을 라우팅하는 통신장비를 말하며, 100M, 1G, 10G, 40G 등 다양한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장치 L2, L3, L4, L7 스위치 L2 스위치 : MAC을 이용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허브보다 상위의 장비, 포트별로 대역폭을 부여해 속도를 보장함 L3 스위치 : IP 주소를 이용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라우팅 기능이 추가된 L2 스위치의 상위 장비 L4 스위치 : SLB(로드밸런싱)기능이 추가된 L3 스위치의 상위 장비 L7 스위치 :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이용한 방식으로 가장 상위의 장비 L1 HUB(Layer 1 HUB) 허브는 모든 랜선에 꽂힌 포트에 동일한 정보를 보내는 장비이다 가장 원시적인 방식으로, 정보를 보내야할 곳이 많아지면(포트가 많아지면)..
1. Round Robin - Real Server로 session을 순차적으로 맺어주는 방식. - 현재의 서버가 가지고 있는 session수는 관여하지 않음. - weighting 옵션이 지원됨. 모든 클라이언트는 동일하게 취급되며 실서버 혹은 경로는 같은 처리량을 보유해야 함. SLB에 많이 사용되며 만약 각기 다른 처리 능력을 가진 서버가 있을 경우 weigted round-robin 알고리즘이 더 효율적. roundrobin은 리얼서버의 마지막 번호를 가진 서버로부터 출발하여 순차적으로 세션을 맺도록 해주는 로드밸런싱 기법. 예를 들어 5대의 서버가 있다면.. 5, 4, 3, 2, 1, 1, 2, 3, 4, 5, 4, 3, 2, 1........ 위와같은 순서로 로드밸런싱 하게 됨. 특별한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