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iteria: 3개의 글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o9YpR/btrlmnuuJNt/EeP0Kh7WKTJA2qSM9oMmz1/img.png)
JPQL JPQL(Java Persistence Query Language)은 JPA를 구현한 프레임워크에서 사용하는 언어입니다. JPA 구현 프레임워크에서는 JPQL을 SQL로 변환해 데이터베이스에 질의하게 됩니다. JPQL은 테이블을 대상으로 쿼리하지 않고 객체를 고려해 쿼리합니다. 이 때문에 JPQL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직접적인 의존 관계를 맺고 있지 않습니다. JPQL은 SQL과 비슷한 구조로 구성 됐습니다. SELECT ... FROM ... [WHERE ...] [GROUP BY ... [HAVING ...]] [ORDER BY ...] 이때 JQPL DELTE나 UPDATE는 다음과 같은 두개의 쿼리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DELETE FROM ... [WHERE ...] UPDATE ...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jRT04/btq2Mcd93Zz/bo5kyaz5d2OoKURoKZHkfk/img.png)
JPA - Criteria Query(객체지향 쿼리 빌더), JPQL Query Builder Class Criteria 쿼리는 JPQL을 자바 코드로 작성하도록 도와주는 빌더 클래스 API이다. Criteria를 사용하면 문자가 아닌 코드로 JPQL를 작성하므로 문법 오류를 컴파일 단계에서 잡을 수 있고 문자 기반의 JPQL보다 동적 쿼리를 안전하게 생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번에 Criteria를 간단하게만 다루려고 한다. 이유는 실제 Criteria를 사용해서 개발하다보면 코드가 복잡하고 장황하며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기때문이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코드로 쿼리를 작성할 수 있고 간단한 QueryDSL을 다음에 자세히 다뤄볼 예정이기에 이번 포스팅은 몇가지 간단하게만 다뤄본다. Cri..
JPA - JPQL(객체지향쿼리) (예제소스파일/ jpql package참조) JPQL은 가장 중요한 객체지향 쿼리 언어이다. Criteria나 QueryDSL은 결국 JPQL을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도와주는 기술이므로 JPA로 데이터베이스 엑세스를 다룬다면 JPQL은 꼭 필수라고 생각이 든다. SQL과 꼭 닮은 쿼리 언어이며 SQL은 데이터 중심의 쿼리라고 하면 JPQL은 엔티티를 대상으로 하는 쿼리 언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JPA에서 해당 JPQL을 분석한 다음 적절한 SQL로 변환해주어서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이다. JPQL 특징 1. 엔티티 객체를 조회하는 객체지향 쿼리이다.(테이블 대상이 아니다.) 2. JPQL은 SQL을 추상화해서 특정 데이터베이스에 의존하지 않는다.(데이터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