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ignore: 2개의 글
.gitignore이란 ?Project에 원하지 않는 파일들을(컴파일 된 파일, .gradle, .idea 등등) git에서 제외시키기 위해 필요한 파일 .gitignore의 파일 위치는 ?프로젝트 최상단 디렉토리에 위치해야한다. 예를들어 git init 명령어를 실행했던 디렉토리에 .gitignore 폴더가 위치하게 된다. intellij에서 자동으로 추가되는 .gitignoreHELP.md.gradlebuild/!gradle/wrapper/gradle-wrapper.jar!**/src/main/**/build/!**/src/test/**/build/### STS ###.apt_generated.classpath.factorypath.project.settings.springBeans.sts4-cach..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TheK6/btq3r0CYPDL/GpQWsEmlfKVnMF5AgiKHZk/img.png)
이번 포스팅은 굉장히 짧은 포스팅이 될것이다. 포스팅 내용은 ".gitignore" 파일이 먹지않을 때, 해결 방법이다. 분명 .gitignore에 파일 확장자 등을 추가하였는데 계속해서 changes에 나온다면 git의 캐시가 문제가 되는지 확인 해볼 필요가 있다. 아래 명령을 통해 캐시를 삭제해보자. > git rm -r --cached > git add . > git commit -m "clean untracked files" 아마 캐시 되었었던 파일들이 쫙 deleted된걸로 나오고 일부 파일들은 untracked로 나올 것이다. 최종적으로 한번 커밋해주자 ! 출처: https://coding-start.tistory.com/330?category=786242 [코딩스타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