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헙: 5개의 글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IR3x6/btq3CzklFI2/ThAZRhmrkGhF5G55CXbQX0/img.png)
Git에서 한 브랜치에서 다른 브랜치로 합치는 방법은 두 가지다. 하나는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 Merge이고 다른 하나는 Rebase이다. Rebase 상황을 이전 포스팅에서 다루어봤던 merge 상황이랑 비교해보자. Git - fast-forward merge 란? fast-forward & 3-way Merge의 차이점 아래와 같은 상황이 있다. 이 상황에서 3-way-merge를 하면 그래프상태는 아래와 같은 상태가 된다. #current branch master > git merge issue-1 그런데 Rebase를 하면 어떻게 될까? #current branch issue-1 > git rebase master > git checkout master > git merge issue-1 실제로 ..
아래 명령어는 특정 브랜치만 clone하는 방법이다. git clone -b {branch_name} --single-branch {git_repository_host}
remote: Permission to 403 remote: Permission to ~ denied to id(xxx). fatal: unable to access 'https://github.com/~': The requested URL returned error: 403 a라는 github 아이디로 '최초' 글로벌 유저를 등록 후 b라는 github 아이디로 글로벌유저를 등록 후 git push를 하게 되면 기존에 최초 등록한 a아이디를 바라보고 있기에 에러를 발생시키는 것이었습니다. spolight 검색을 통해 keychain Access.app 또는 키체인 접근을 실행합니다. 오른쪽 상단에 검색창에 github.com 을 검색합니다. 리스트에 보이는 github.com 더블클릭 후 계정과 암호를..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90rE/btq3t4rzJXg/uJBulPjltuQ5sLGA0L2It1/img.png)
이전 포스팅에 이어 Jenkins&GitHub을 이용한 CI 실습을 다루어볼 것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본격적으로 실습을 진행하기 전에 아주 간단한 echo를 찍어주는 pipeline 하나를 만들어 볼 것이다. 사실 이것을 설명하는 이유는 멀티브랜치 파이프라인에 대해 조금 이해해보기 위함이다. 1. Multibranch Pipeline 생성 사실 우리가 개발할때, 버전관리 시스템에서 브랜치를 하나만 사용하여 개발하지 않는다. 각 회사마다의 브랜치 전략이 있겠지만 가장 대중적인 브랜치 전략은 아래와 같다. Feature branch Integration branch Master branch(production branch) 이렇게 여러개의 브랜치를 가지고 개발을 진행하고 이러한 멀티 브랜치 전략에 대해 J..
![](http://i1.daumcdn.net/thumb/C20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SSbf/btq3vUPP30X/8YvrS08K4rYwbEqAJ4bwEk/img.png)
오늘 다루어볼 내용은 CI의 핵심 젠킨스(Jenkins)를 다루어볼 것이다. 사실 이번 포스팅을 시작으로 젠킨스(Jenkins) 관련 몇개의 포스팅이 더 있을 듯하다. 오늘은 간단히 CentOS환경에 docker로 Jenkins를 설치해볼 것이다. 바로 예제로 넘어간다. 필자는 미리 CentOS VM을 준비하였다.(사실 회사에서 장비를 맘껏 받아쓸 수 있어서 ㅎㅎ 실습용으로 생성했다.) 이번 포스팅은 CentOS가 준비되어 있다라는 가정이다. 1. CentOS에 Docker Engine 설치 첫번째로 Docker Engine을 설치해보자. > sudo yum -y update > sudo yum -y install docker docker-registry > sudo systemctl start dock..